안동 하회마을
분류 민속마을
시대 조선시대
자료.사진출처 안동시청 문화관광
조선 시대의 성리학자인 겸암 류운룡 선생, 서애 류성룡 선생의 출신 고장으로 유명한 이 곳은 대대로 풍산류씨가 살아 오는 동성부락이다. 낙동강물이 흐르다가 이 지역에서 마을을 감싸 돌면서 흐른다고 하여 ′하회′라는 지명이 붙었다. 별신굿탈놀이와 하회탈이 유명한 마을이다. 마을 전체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보물로 지정된 입암고택(사랑채 : 고려양식, 안채 : 이조양식, 불천위 사당 : 2채)과 충효당(경내에는 영모각이 있음.)을 비롯하여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고택과 정사들, 서낭당..

조선 시대의 성리학자인 겸암 류운룡 선생, 서애 류성룡 선생의 출신 고장으로 유명한 이 곳은 대대로 풍산류씨가 살아 오는 동성부락이다. 낙동강물이 흐르다가 이 지역에서 마을을 감싸 돌면서 흐른다고 하여 ′하회′라는 지명이 붙었다. 별신굿탈놀이와 하회탈이 유명한 마을이다.
 

마을 전체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보물로 지정된 입암고택(사랑채 : 고려양식, 안채 : 이조양식, 불천위 사당 : 2채)과 충효당(경내에는 영모각이 있음.)을 비롯하여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고택과 정사들, 서낭당, 정려각, 노거수 등이 있음.

이 마을은 조선 전기 이후의 전통적인 가옥군, 영남의 명기(名基)라는 풍수적 경관, 오랜 역사적 배경, 별신굿과 같은 민간전승 등이 잘 보존된 민속마을이다. 전국유수의 풍산 류씨 동성촌락이며, 그 터전은 낙동강의 넓은 강류가 마을 전체를 동·남·서 세방향으로 감싸도는 명기이다. 지형은 풍수학적으로 태극형(太極形)·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다리미형이라고 한다. 이곳은 대체로 허씨, 안씨 등의 유력한 씨족이 살아왔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1635년(인조 13)의 기록을 보면 벌써 류씨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다.

류씨의 입향조는 8세 전서공 류종혜(典書公 柳從惠)로 알려져 있으며, 오늘과 같은 동족기반은 중흥조 류운룡(柳雲龍)·류성룡(柳成龍)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류운룡은 시조에서 14대의 종손이며 류성룡은 지손인데 이 두 계손들을 겸암파(謙菴派)·서애파(西厓派)로 부르기도 한다.
 

끝없이 펼쳐진 백사장과 울창한 소나무숲이 절경을 이루며 조선전기 이래의 건축물과 하회별신굿탈놀이, 선유줄불놀이 등의 민속문화가 그대로 남아 있어 안동의 전통문화를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민속마을이다.
이 마을을 감싸도는 화천(花川)은 낙동강의 상류이며 그 둘레에는 퇴적된 넓은 모래밭이 펼쳐지고, 그 서북쪽에는 울창한 노송림이 들어서 있어 경관이 아름답다. 강류의 마을 쪽이 백사장인데 반해 건너편은 층암절별으로 여러 정대(亭臺)가 자리잡고 있어 승경(勝景)으로서의 면모를 잘 갖추고 있다. 강의 최대폭은 대략 300m이고 최대 수심은 5m에 이른다. 강 건너 인근과의 교통수단은 나룻배이며, 과거에는 음력 7월 보름에 부용대 밑에서 시회가 열렸으며 유명한 줄불놀이가 벌어졌었다.

이 강상유화(江上流花)의 놀이는 화회별신굿과 함께 이 고장의 오랜 민간전승놀이이다. 별신굿에 쓰이던 가면(하회탈과 병산탈)들은 국보(12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그 제작연대는 고려시대로 추정되어 하회마을의 역사적 배경을 잘 말해주고 있다.
 

풍산으로부터의 진입도로와 연결된 큰 길이 마을 중심부를 동서로 관통하는데 이 마을길 북쪽을 북촌, 남쪽을 남촌이라 한다. 현재 120가구에 290여명이 살고 있다. 보물로 지정된 곳은 안동양진당(306호)과 충효당(414호)이 있고, 중요민속자료로는 하회북촌택(84호), 하회원지정사(85호), 하회빈연정사(86호), 하회류씨주가옥(87호), 하회겸암정사(89호), 하회남촌택(90호), 하회주일재(91호) 등이 있다. 이들 지정 가옥들은 모두 류씨집안의 소유이며, 그 중에서도 규모나 유래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 양진당, 충효당, 북촌택, 남촌택, 옥연정사, 겸암정사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전통가옥들 외에도 소규모의 토담집과 붕담집은 기본적 건축재료인 진흙만으로 벽체를 쌓아올리는 원초적 민가축조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평면구조도 一자집, □자집, 튼□자집 등 다양한 민가형식을 보이고 있는데, 과거 신분제사회에서의 반상(班常)의 생활을 볼 수 있는 풍부한 자료들이라 할 수 있다.


- 유래
하회마을은 지금부터 약 600여년전 공조전서였던 류종혜공이 이 마을에 터를 닦은 후 그의 후손들이 대대로 살아오던 마을로 현재는 풍산 류씨가 마을 가구수의 약 75%를 차지하고 있는 전형적인 동성부락 마을이다. "하회마을 전체가 문화재"라 할 정도로 문화유적들이 많이 남아 있다. 낙동강물이 동쪽으로 흐르다가 S자형을 이루면서 여기서 마을을 싸고 돌고 있으며 마을 중심부에는 류씨들의 집인 큰 기와집이 자리잡고 있으며 원형이 잘 보존된 초가집들이 둘러싸고 있다.

- 관련 인물 및 유적
. 류운룡, 류성룡
. 하회탈 및 병산탈, 징비록, 류성룡종손가문적11종 22점, 서애유물 3종 27점, 양진당, 충효당, 북촌댁, 원지정사, 빈연정사, 작천고택, 옥연정사, 겸암정사, 남촌댁, 주일재

Read More

안동 한지공장
주소 경북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36-1
연락처 054-858-7007
홈페이지 http://www.andonghanji.com/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안동한지 상설 전시관(체험장)안동한지상설전시관은 안동의 풍부한 물과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닥나무를 원료로 하여 노련한 기술자의 투철한 장인 정신으로 한지를 전통 방법으로 생산하여 전시하며 체험하는 곳으로, 학습의 장과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안동의 관광 명소로 발돋움하고 있다.안동한지를 생산하는 기업체 안동한지에서 한지에 관한 모든 것을 보고 느끼며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0년 4월 안동한지상설전시관과 한지 체험장을 개장하였다.안동한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안동한지 상설 전시관(체험장)

안동한지상설전시관은 안동의 풍부한 물과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닥나무를 원료로 하여 노련한 기술자의 투철한 장인 정신으로 한지를 전통 방법으로 생산하여 전시하며 체험하는 곳으로, 학습의 장과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안동의 관광 명소로 발돋움하고 있다.

안동한지를 생산하는 기업체 안동한지에서 한지에 관한 모든 것을 보고 느끼며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0년 4월 안동한지상설전시관과 한지 체험장을 개장하였다.

안동한지상설전시관은 한지전시판매장, 상설전시관, 심우체험작품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지전시판매장에서는 한지 제작 공장과 안동한지 공장에서 생산된 70여 가지의 한지를 전시·판매하고 있다. 상설전시관에서는 닥종이를 원료로 하여 만든 전통 한지 공예품, 닥종이 인형, 지승 공예, 한지 패션, 서예 작품을 감상하고 구매할 있다. 심우체험작품관에서는 한지 탈 만들기, 한지 문양 넣기, 선비 갓 만들기, 옛날 책 만들기를 체험할 수 있다.

2009년 현재 체험 행사로는 한지 만들어보기(한지뜨기), 전통오색한지 공예품 만들기, 한지로 명함만들어 보기, 서예, 난, 죽 그려보기 등이 있다. 인근 관광지로는 안동 하회마을, 병산서원, 옥류정, 하회동탈박물관, 하회 된장마을 등이 있다. 기업체 안동한지에서는 질 좋은 닥종이를 엄선하여 전통적인 방법 그대로의 제조법을 고집하고 있어 직접 한지를 만들어 보고 질 좋은 한지를 구입할 수 있다. 또한 한지로 만든 공예품을 전시하고 있으며, 한지공예 작가인 권영순의 유천미술관을 관람할 수 있다.

 

Read More

안동 하회동탈박물관
주소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06
연락처 054-853-2288
자료.사진출처 동탈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mask.kr/default.htm
한국과 세계의 탈을 전문적으로 전시하고 있는 전문박물관이며 탈과 탈춤에 대한 사진자료와 탈을 만드는 재료 등이 전시되어 있다. 초기엔 하회마을의 부용대의 이름을 따서 부용탈방이라 하였으나 1985년도부터 지금의 이름인 하회동 탈방이라 칭하게 되었다. 그동안 만든 하회탈은 공보처의 해외 공보관에 전시용으로 공급되어왔다.제1전시실 한국관 ▶ 총면적-90평▶ 중요무형문화재로 등록된 13종류와 지방문화재 2종류, 나례에 사용되는 탈과, 미등록자료 예천청단놀음탈 등총 200여점 전시.▶ 한국관에는 하회탈을 비롯하여 황해도..

한국과 세계의 탈을 전문적으로 전시하고 있는 전문박물관이며 탈과 탈춤에 대한 사진자료와 탈을 만드는 재료 등이 전시되어 있다. 초기엔 하회마을의 부용대의 이름을 따서 부용탈방이라 하였으나 1985년도부터 지금의 이름인 하회동 탈방이라 칭하게 되었다. 그동안 만든 하회탈은 공보처의 해외 공보관에 전시용으로 공급되어왔다.

 


제1전시실 한국관

총면적-90평
중요무형문화재로 등록된 13종류와 지방문화재 2종류, 나례에 사용되는 탈과, 미등록자료 예천청단놀음탈 등
총 200여점 전시.
한국관에는 하회탈을 비롯하여 황해도 지방의 탈, 서울 경기지역의 산대놀이 탈과 경남과 부산지방의 야류·오광대 탈을 비롯하여 내륙지방의 별신굿 탈과 강릉관노가면극의 탈, 방상시와 처용탈, 옛 산대탈 등이 전시되어 있다. 우리나라 탈은 서낭제나 각종 벽사의식 등에도 사용이 되지만, 주로 사회적 기능을 갖고 있는 탈놀이에 사용되는 것으로 풍자와 해학이 가득 담긴 표정의 탈이 다양하게 있다.

 

 


제2.3 전시실 아시아관

아시아관은 중국의 나희가면과 벽사가면, 일본의 노가면, 태국의 콘 가면, 인도의 쵸우가면, 몽골의 챰 가면 등 아시아 지역의 탈이 전시되어 있다. 아시아 지역의 탈은 대체로 신화나 종교, 무속의식 또는 전설을 바탕으로 만들어 진 것이 많으며 각 나라마다 특징적인 의미와 조형을 지니고 있다.




제4전시실 세계관

세계관은 아시아지역을 제외한 세계 각지의 탈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아프리카 일대의 주술용탈과 벽사용 탈, 의식용 탈을 비롯하여 카니발과 같은 가면무도회, 축제용 가면, 각 부족의 조상가면과 주술가면 등이 전시되어 있다. 오지의 탈일수록 여전히 부족민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들의 실생활에서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