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오죽헌
1963년 보물 제165호로 지정된 오죽헌은 우리나라 대표 어머니상 신사임당(1504∼1551)과 그의 아들 율곡 이이(1536∼1584)가 태어난 유서 깊은 곳이다. 당대 최고의 인물이었음을 증명하듯 세계최초로 모자가 나란히 화폐에 등장했으며, 바로 이곳이 그 위인들의 역사적인 탄생지였음을 되새겨본다면 풀잎 하나, 글자 하나에서 더욱 깊은 뜻이 느껴진다. 집 주위에 까마귀처럼 검은 대나무가 많아 율곡의 이종사촌 권처균이 자신의 호를 오죽헌이라 지은 데서 비롯된 ‘오죽헌’. 신성한 곳에서만 그 뿌리를 내린다는..

1963년 보물 제165호로 지정된 오죽헌은 우리나라 대표 어머니상 신사임당(1504∼1551)과 그의 아들 율곡 이이(1536∼1584)가 태어난 유서 깊은 곳이다.

당대 최고의 인물이었음을 증명하듯 세계최초로 모자가 나란히 화폐에 등장했으며, 바로 이곳이 그 위인들의 역사적인 탄생지였음을 되새겨본다면 풀잎 하나, 글자 하나에서 더욱 깊은 뜻이 느껴진다.

집 주위에 까마귀처럼 검은 대나무가 많아 율곡의 이종사촌 권처균이 자신의 호를 오죽헌이라 지은 데서 비롯된 ‘오죽헌’.

신성한 곳에서만 그 뿌리를 내린다는 오죽처럼, 뭇사람의 마음바탕에 어지럽게 그어진 생각들을, 그 경계를 이곳에서 한 걸음 한 걸음 떼어가며 지워본다.

 

 

Read More

강릉 선교장
키 큰 노송들이 빽빽이 들어찬 뒷동산 한 자락 품에 아늑히 안겨 300여 년 동안 터를 닦아온 선교장은 한국의 전통 가옥 중 가장 웅장하고 화려함을 자랑하는 가옥이다. 태종의 둘째 아들 효령대군의 11대손 이내번은 서북쪽으로 이동하는 족제비 무리를 쫓다가 이곳에 이르러 아흔아홉 칸의 선교장을 짓게 되었다고 한다.

키 큰 노송들이 빽빽이 들어찬 뒷동산 한 자락 품에 아늑히 안겨 300여 년 동안 터를 닦아온 선교장은 한국의 전통 가옥 중 가장 웅장하고 화려함을 자랑하는 가옥이다.

태종의 둘째 아들 효령대군의 11대손 이내번은 서북쪽으로 이동하는 족제비 무리를 쫓다가 이곳에 이르러 아흔아홉 칸의 선교장을 짓게 되었다고 한다.

Read More

강릉 참소리축음기.에디슨과학박물관
참소리축음기·에디슨과학박물관은 설립자 손성목관장이 소년시절 선친으로부터 받은 콜롬비아 축음기 G241호(본 박물관 소장품1호)가 인연이 되고, 그 축음기로부터 흘러나오는 참소리에 매료되어 한평생을 축음기 수집가로서 목숨을 건 위험 부담 속에 세계 60여 개국을 돌며 수집한 명품 축음기 및 뮤직박스, 라디오, TV 그리고 발명왕 에디슨의 발명품 등 5,000여점이 전시되는 소리(Sound)와 과학(Science)이 만나는 소장품 규모면에서 세계 최대의 박물관이다. 손성목관장이 축음기수집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조우한 에디슨은 ..

참소리축음기·에디슨과학박물관은 설립자 손성목관장이 소년시절 선친으로부터 받은 콜롬비아 축음기 G241호(본 박물관 소장품1호)가 인연이 되고, 그 축음기로부터 흘러나오는 참소리에 매료되어 한평생을 축음기 수집가로서 목숨을 건 위험 부담 속에 세계 60여 개국을 돌며 수집한 명품 축음기 및 뮤직박스, 라디오, TV 그리고 발명왕 에디슨의 발명품 등 5,000여점이 전시되는 소리(Sound)와 과학(Science)이 만나는 소장품 규모면에서 세계 최대의 박물관이다.

손성목관장이 축음기수집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조우한 에디슨은 이후 손관장에게는 운명적으로 다가섰고 서로 비슷한 처지의 성장기를 거치고 타고난 집념과 꺾이지 않는 의지는 두 사람을 인류에게 가장 위대한 유산을 남긴 발명왕과 전 세계의 축음기 및 에디슨 발명품의 1/3이상을 소장한 수집광으로 만들어 놓았다.
 

Read More

강릉 정동진역
50여 년 동안 소시민들의 기쁨과 슬픔, 만남과 이별의 무대가 된 정동진역. 아름다운 바닷가와 잔잔하게 흐르는 풍경이 어우러져 테마여행지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역과 마주한 바다는 한 폭의 그림이 된다.

50여 년 동안 소시민들의 기쁨과 슬픔, 만남과 이별의 무대가 된 정동진역.

아름다운 바닷가와 잔잔하게 흐르는 풍경이 어우러져 테마여행지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역과 마주한 바다는 한 폭의 그림이 된다.

Read More

강릉 경포대
관동팔경의 하나로, 달맞이 장소로도 유명한 경포대는 조선초기에는 태조와 세조의 순력이 있었다 하여 매우 널리 알려진 정자로 관동팔경 중에서 가장 수려한 조망을 지니고 있다. 경포대는 앞면5칸, 옆면5칸,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 집으로, 모두 48개의 기둥으로 이뤄졌다. <경포대>라는 현판은 두 개가 있는데, 전서체 현판은 유한지가, 해서체 현판은 이익회의 글씨이다. 저녁 무렵 누각에 앉으면 하늘에 뜬 달, 바다에 뜬 달, 호수에 뜬 달, 그리고 술잔에 뜬 달과 님의 눈동자에 비친 달 등 무려 다섯 개의..

관동팔경의 하나로, 달맞이 장소로도 유명한 경포대는 조선초기에는 태조와 세조의 순력이 있었다 하여 매우 널리 알려진 정자로 관동팔경 중에서 가장 수려한 조망을 지니고 있다.

경포대는 앞면5칸, 옆면5칸,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 집으로, 모두 48개의 기둥으로 이뤄졌다.
<경포대>라는 현판은 두 개가 있는데, 전서체 현판은 유한지가, 해서체 현판은 이익회의 글씨이다.

저녁 무렵 누각에 앉으면 하늘에 뜬 달, 바다에 뜬 달, 호수에 뜬 달, 그리고 술잔에 뜬 달과 님의 눈동자에 비친 달 등 무려 다섯 개의 달을 볼 수 있다는 전설 같은 이야기를 확인할 수 있다.

Read More

울진 봉평신라비
자료.사진출처 문화재청
삼국시대 신라의 비석으로, 1988년 봉평리 논 객토작업으로 2-3개월 방치되어 있던 것을 마을 주민(권대선)이 발견하고 신고하였다. 오랜 세월 땅속에 묻혀 있었던 까닭에 상태가 좋은 편은 아니나, 원래의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 비는 자연돌을 다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사다리꼴에 가깝다. 비문은 한쪽 면에만 새겨져 있는데, 글자수는 400자 정도이다. 글씨는 중국 남북조시대에 북조의 영향을 받은 해서체이나, 예서체의 모습도 보인다. 내용은 전형적인 한문이 아니라 신라식의 독특한 한문체를 사용..

삼국시대 신라의 비석으로, 1988년 봉평리 논 객토작업으로 2-3개월 방치되어 있던 것을 마을 주민(권대선)이 발견하고 신고하였다. 오랜 세월 땅속에 묻혀 있었던 까닭에 상태가 좋은 편은 아니나, 원래의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

비는 자연돌을 다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사다리꼴에 가깝다. 비문은 한쪽 면에만 새겨져 있는데, 글자수는 400자 정도이다. 글씨는 중국 남북조시대에 북조의 영향을 받은 해서체이나, 예서체의 모습도 보인다.

내용은 전형적인 한문이 아니라 신라식의 독특한 한문체를 사용하여 파악이 어렵지만 전체적인 윤곽은 짐작할 만하다. 기본 줄거리는 울진 지방이 신라의 영토로 들어감에 따라 주민들의 항쟁이 일어나자, 신라에서는 육부(六部) 회의를 열고 대인(大人)을 보내어 벌을 주고, 다시 대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를 세웠다는 내용이다.

신라가 동북방면으로 진출하면서 건립한 비로, 법흥왕 11년(524)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신라 사회 전반에 걸치는 여러 면들을 새롭게 검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이다. 또한 법흥왕 때의 율령반포와 육부제의 실시, 왕권의 실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울진봉평신라비는 오랜 세월 동안 땅속에 묻혀 있었던 까닭으로 비문의 일부가 마멸되어 정확한 판독이 어려우나 신라 법흥왕 11년(524)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신라가 영토확장으로 동해안지역에 실직주(悉直州)를 설치하고 이곳 지역을 새로 편입함에 따라 주민들의 항쟁사태가 일어나자 신라에는 이를 응징하기 위해 육부회의(六部會議)를 열고 대인(大人)을 파견하여 벌을 주고, 다시 대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비를 세운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비의 크기는 길이가 204cm, 글자가 새겨진 부분의 위폭 32cm, 아래폭 54.5cm이다. 비는 사각장방형의 자연석 화강암에 한면을 다듬어 비문을 새겼는데, 규모는 작지만 형태는 고구려 장수왕 2년(414)에 세운 광개토왕비와 유사한 고구려계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 비를 통하여 신라 육부제(六部制) 실시와 법흥왕의 율령반포에 대한 『삼국사기』의 기록입증 등 사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

 

 

Read More

평창 대관령 양떼목장
주소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대관령마루길 483-32
연락처 033-335-1966
자료.사진출처 대관령 양떼목장 홈페이지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