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종목 국보 제18호
시대 고려
자료.사진출처 문화재청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는데,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한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 앉았다고 전한다.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건물..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는데,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한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 앉았다고 전한다.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건물로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시고 있다.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짓고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고쳐 지었으나, 공민왕 7년(1358)에 불에 타 버렸다. 지금 있는 건물은 고려 우왕 2년(1376)에 다시 짓고 광해군 때 새로 단청한 것으로, 1916년에 해체·수리 공사를 하였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를 간결한 형태로 기둥 위에만 짜올린 주심포 양식이다. 특히 세부 수법이 후세의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장식적인 요소가 적어 주심포 양식의 기본 수법을 가장 잘 남기고 있는 대표적인 건물로 평가 받고 있다. 건물 안에는 다른 불전과 달리 불전의 옆면에 불상을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무량수전은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안동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로서 고대 사찰건축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건물이 되고 있다.

Read More

영주 소수서원시립박물관
위치 영주시 순흥면 청구리 347 일원
연락처 054-639-6955
자료.사진출처 소수서원시립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seonbichon.or.kr
 



 

Read More

영주 선비촌
위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연락처 054-638-6444
자료.사진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선비촌
홈페이지 http://www.sunbichon.net/
유교문화 발상의 중심지로서 옛 선비정신을 계승하고, 선현들의 학문 탐구와 전통생활 모습의 재현을 통하여 관광자원화하고, 미래지향적인 관광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며, 우리 전통적 고유사상과 생활상의 체험 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한다.선비촌은 우리 민족의 생활철학이 담긴 선비정신을 거양하고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를 재조명하여 윤리도덕의 붕괴와 인간성 상실의 사회적 괴리현상을 해소시켜 보고자 충효의 현장에 재현하게 된 것이다. 앞으로 소수서원과 연계되는 영주선비정신의 계승과 이를 통한 올바른 가치관 정립 그리고 ..

유교문화 발상의 중심지로서 옛 선비정신을 계승하고, 선현들의 학문 탐구와 전통생활 모습의 재현을 통하여 관광자원화하고, 미래지향적인 관광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며, 우리 전통적 고유사상과 생활상의 체험 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선비촌은 우리 민족의 생활철학이 담긴 선비정신을 거양하고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를 재조명하여 윤리도덕의 붕괴와 인간성 상실의 사회적 괴리현상을 해소시켜 보고자 충효의 현장에 재현하게 된 것이다. 앞으로 소수서원과 연계되는 영주선비정신의 계승과 이를 통한 올바른 가치관 정립 그리고 역사관 확립을 위한 산교육장으로 활용될 것이다. 선비의 생활상을 이해하는 오감체험형전시와 참여형 이벤트, 전통문화체험의 기회가 수시로 제공되는 선비촌의 각종 기획프로그램에서 옛 선비들의 당시 생활상을 통해 잊혀져가는 수준높은 전통문화를 체험하게 될 것이다.
 

Read More

영주 무섬마을
종목 중요민속문화재 제278호
시대 조선
자료.사진출처 무섬마을
홈페이지 http://www.무섬마을.com/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낙동강 줄기에는 강물이 산에 막혀 물돌이동을 만들어 낸 곳이 여럿 있다. 물 위에 떠 있는 섬이라 하여 무섬마을이라 불리는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무섬마을은 이처럼 ‘물 위에 떠 있는 섬’이라 하여 무섬마을이라 불린다. 마을 주변을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과 서천이 휘돌아 흐르는 대표적인 물동이마을이다.무섬마을의 역사는 166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반남(潘南) 박씨인 휘(諱) 수가 이곳에 처음 터를 잡은 후 선성(宣城) 김씨가 들어와 박씨 문중과 혼인하면서 오..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낙동강 줄기에는 강물이 산에 막혀 물돌이동을 만들어 낸 곳이 여럿 있다. 물 위에 떠 있는 섬이라 하여 무섬마을이라 불리는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무섬마을은 이처럼 ‘물 위에 떠 있는 섬’이라 하여 무섬마을이라 불린다. 마을 주변을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과 서천이 휘돌아 흐르는 대표적인 물동이마을이다.

무섬마을의 역사는 166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반남(潘南) 박씨인 휘(諱) 수가 이곳에 처음 터를 잡은 후 선성(宣城) 김씨가 들어와 박씨 문중과 혼인하면서 오늘날까지 두 집안의 집성촌으로 남아있다.

40여 가구 전통가옥이 지붕을 맞대고 오순도순 마을을 이루는 무섬마을은 수백 년의 역사와 전통이 오롯이 남아있다.

특히 경북 북부지역의 전형적인 양반집 구조인 ‘ㅁ’자형 전통가옥이 늘어서 있는 모습이 장관이다.
반남박씨 입향조인 박수가 마을에 들어와 건립한 만죽재(晩竹齎)를 비롯해 총 9개 가옥이 경북문화재자료 및 경북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역사가 100년이 넘는 가옥도 16채나 남아있어 조상들의 자취와 숨결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마을 내 고택과 정자들이 옛 모습 그대로 보존돼 고풍스런 옛 향취를 풍기고, 30년 전까지 마을과 외부를 이어주던 유일한 통로, 외나무다리가 마을의 대표 상징물로서 역사를 대변하고 있다.

Read More

안동 하회마을
분류 민속마을
시대 조선시대
자료.사진출처 안동시청 문화관광
조선 시대의 성리학자인 겸암 류운룡 선생, 서애 류성룡 선생의 출신 고장으로 유명한 이 곳은 대대로 풍산류씨가 살아 오는 동성부락이다. 낙동강물이 흐르다가 이 지역에서 마을을 감싸 돌면서 흐른다고 하여 ′하회′라는 지명이 붙었다. 별신굿탈놀이와 하회탈이 유명한 마을이다. 마을 전체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보물로 지정된 입암고택(사랑채 : 고려양식, 안채 : 이조양식, 불천위 사당 : 2채)과 충효당(경내에는 영모각이 있음.)을 비롯하여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고택과 정사들, 서낭당..

조선 시대의 성리학자인 겸암 류운룡 선생, 서애 류성룡 선생의 출신 고장으로 유명한 이 곳은 대대로 풍산류씨가 살아 오는 동성부락이다. 낙동강물이 흐르다가 이 지역에서 마을을 감싸 돌면서 흐른다고 하여 ′하회′라는 지명이 붙었다. 별신굿탈놀이와 하회탈이 유명한 마을이다.
 

마을 전체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보물로 지정된 입암고택(사랑채 : 고려양식, 안채 : 이조양식, 불천위 사당 : 2채)과 충효당(경내에는 영모각이 있음.)을 비롯하여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고택과 정사들, 서낭당, 정려각, 노거수 등이 있음.

이 마을은 조선 전기 이후의 전통적인 가옥군, 영남의 명기(名基)라는 풍수적 경관, 오랜 역사적 배경, 별신굿과 같은 민간전승 등이 잘 보존된 민속마을이다. 전국유수의 풍산 류씨 동성촌락이며, 그 터전은 낙동강의 넓은 강류가 마을 전체를 동·남·서 세방향으로 감싸도는 명기이다. 지형은 풍수학적으로 태극형(太極形)·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다리미형이라고 한다. 이곳은 대체로 허씨, 안씨 등의 유력한 씨족이 살아왔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1635년(인조 13)의 기록을 보면 벌써 류씨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다.

류씨의 입향조는 8세 전서공 류종혜(典書公 柳從惠)로 알려져 있으며, 오늘과 같은 동족기반은 중흥조 류운룡(柳雲龍)·류성룡(柳成龍)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류운룡은 시조에서 14대의 종손이며 류성룡은 지손인데 이 두 계손들을 겸암파(謙菴派)·서애파(西厓派)로 부르기도 한다.
 

끝없이 펼쳐진 백사장과 울창한 소나무숲이 절경을 이루며 조선전기 이래의 건축물과 하회별신굿탈놀이, 선유줄불놀이 등의 민속문화가 그대로 남아 있어 안동의 전통문화를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민속마을이다.
이 마을을 감싸도는 화천(花川)은 낙동강의 상류이며 그 둘레에는 퇴적된 넓은 모래밭이 펼쳐지고, 그 서북쪽에는 울창한 노송림이 들어서 있어 경관이 아름답다. 강류의 마을 쪽이 백사장인데 반해 건너편은 층암절별으로 여러 정대(亭臺)가 자리잡고 있어 승경(勝景)으로서의 면모를 잘 갖추고 있다. 강의 최대폭은 대략 300m이고 최대 수심은 5m에 이른다. 강 건너 인근과의 교통수단은 나룻배이며, 과거에는 음력 7월 보름에 부용대 밑에서 시회가 열렸으며 유명한 줄불놀이가 벌어졌었다.

이 강상유화(江上流花)의 놀이는 화회별신굿과 함께 이 고장의 오랜 민간전승놀이이다. 별신굿에 쓰이던 가면(하회탈과 병산탈)들은 국보(12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그 제작연대는 고려시대로 추정되어 하회마을의 역사적 배경을 잘 말해주고 있다.
 

풍산으로부터의 진입도로와 연결된 큰 길이 마을 중심부를 동서로 관통하는데 이 마을길 북쪽을 북촌, 남쪽을 남촌이라 한다. 현재 120가구에 290여명이 살고 있다. 보물로 지정된 곳은 안동양진당(306호)과 충효당(414호)이 있고, 중요민속자료로는 하회북촌택(84호), 하회원지정사(85호), 하회빈연정사(86호), 하회류씨주가옥(87호), 하회겸암정사(89호), 하회남촌택(90호), 하회주일재(91호) 등이 있다. 이들 지정 가옥들은 모두 류씨집안의 소유이며, 그 중에서도 규모나 유래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 양진당, 충효당, 북촌택, 남촌택, 옥연정사, 겸암정사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전통가옥들 외에도 소규모의 토담집과 붕담집은 기본적 건축재료인 진흙만으로 벽체를 쌓아올리는 원초적 민가축조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평면구조도 一자집, □자집, 튼□자집 등 다양한 민가형식을 보이고 있는데, 과거 신분제사회에서의 반상(班常)의 생활을 볼 수 있는 풍부한 자료들이라 할 수 있다.


- 유래
하회마을은 지금부터 약 600여년전 공조전서였던 류종혜공이 이 마을에 터를 닦은 후 그의 후손들이 대대로 살아오던 마을로 현재는 풍산 류씨가 마을 가구수의 약 75%를 차지하고 있는 전형적인 동성부락 마을이다. "하회마을 전체가 문화재"라 할 정도로 문화유적들이 많이 남아 있다. 낙동강물이 동쪽으로 흐르다가 S자형을 이루면서 여기서 마을을 싸고 돌고 있으며 마을 중심부에는 류씨들의 집인 큰 기와집이 자리잡고 있으며 원형이 잘 보존된 초가집들이 둘러싸고 있다.

- 관련 인물 및 유적
. 류운룡, 류성룡
. 하회탈 및 병산탈, 징비록, 류성룡종손가문적11종 22점, 서애유물 3종 27점, 양진당, 충효당, 북촌댁, 원지정사, 빈연정사, 작천고택, 옥연정사, 겸암정사, 남촌댁, 주일재

Read More

안동 병산서원
종목 사적 제260호
시대 조선
자료.사진출처 안동시청 문화관광
병산서원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유교적 건축물로서, 류성룡과 그의 셋째아들 류진을 배향한 서원이다.  병산서원의 전신은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당으로, 고려말부터 사림들의 학문의 전당으로 1614년 서애 류성룡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존덕사를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했다. 1868년 대원군 서원 철폐령이 내려졌을 때 그 대상에서 제외된 전국 47개, 안동 2개소 중 한 곳이다. 3월과 9월 초정일(初亭日)에 향사하고 있다...

병산서원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유교적 건축물로서, 류성룡과 그의 셋째아들 류진을 배향한 서원이다.  병산서원의 전신은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당으로, 고려말부터 사림들의 학문의 전당으로 1614년 서애 류성룡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존덕사를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했다.

1868년 대원군 서원 철폐령이 내려졌을 때 그 대상에서 제외된 전국 47개, 안동 2개소 중 한 곳이다. 3월과 9월 초정일(初亭日)에 향사하고 있다.

 

Read More

안동 한지공장
주소 경북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36-1
연락처 054-858-7007
홈페이지 http://www.andonghanji.com/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안동한지 상설 전시관(체험장)안동한지상설전시관은 안동의 풍부한 물과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닥나무를 원료로 하여 노련한 기술자의 투철한 장인 정신으로 한지를 전통 방법으로 생산하여 전시하며 체험하는 곳으로, 학습의 장과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안동의 관광 명소로 발돋움하고 있다.안동한지를 생산하는 기업체 안동한지에서 한지에 관한 모든 것을 보고 느끼며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0년 4월 안동한지상설전시관과 한지 체험장을 개장하였다.안동한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안동한지 상설 전시관(체험장)

안동한지상설전시관은 안동의 풍부한 물과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닥나무를 원료로 하여 노련한 기술자의 투철한 장인 정신으로 한지를 전통 방법으로 생산하여 전시하며 체험하는 곳으로, 학습의 장과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안동의 관광 명소로 발돋움하고 있다.

안동한지를 생산하는 기업체 안동한지에서 한지에 관한 모든 것을 보고 느끼며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0년 4월 안동한지상설전시관과 한지 체험장을 개장하였다.

안동한지상설전시관은 한지전시판매장, 상설전시관, 심우체험작품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지전시판매장에서는 한지 제작 공장과 안동한지 공장에서 생산된 70여 가지의 한지를 전시·판매하고 있다. 상설전시관에서는 닥종이를 원료로 하여 만든 전통 한지 공예품, 닥종이 인형, 지승 공예, 한지 패션, 서예 작품을 감상하고 구매할 있다. 심우체험작품관에서는 한지 탈 만들기, 한지 문양 넣기, 선비 갓 만들기, 옛날 책 만들기를 체험할 수 있다.

2009년 현재 체험 행사로는 한지 만들어보기(한지뜨기), 전통오색한지 공예품 만들기, 한지로 명함만들어 보기, 서예, 난, 죽 그려보기 등이 있다. 인근 관광지로는 안동 하회마을, 병산서원, 옥류정, 하회동탈박물관, 하회 된장마을 등이 있다. 기업체 안동한지에서는 질 좋은 닥종이를 엄선하여 전통적인 방법 그대로의 제조법을 고집하고 있어 직접 한지를 만들어 보고 질 좋은 한지를 구입할 수 있다. 또한 한지로 만든 공예품을 전시하고 있으며, 한지공예 작가인 권영순의 유천미술관을 관람할 수 있다.

 

Read More

안동 하회동탈박물관
주소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06
연락처 054-853-2288
자료.사진출처 동탈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mask.kr/default.htm
한국과 세계의 탈을 전문적으로 전시하고 있는 전문박물관이며 탈과 탈춤에 대한 사진자료와 탈을 만드는 재료 등이 전시되어 있다. 초기엔 하회마을의 부용대의 이름을 따서 부용탈방이라 하였으나 1985년도부터 지금의 이름인 하회동 탈방이라 칭하게 되었다. 그동안 만든 하회탈은 공보처의 해외 공보관에 전시용으로 공급되어왔다.제1전시실 한국관 ▶ 총면적-90평▶ 중요무형문화재로 등록된 13종류와 지방문화재 2종류, 나례에 사용되는 탈과, 미등록자료 예천청단놀음탈 등총 200여점 전시.▶ 한국관에는 하회탈을 비롯하여 황해도..

한국과 세계의 탈을 전문적으로 전시하고 있는 전문박물관이며 탈과 탈춤에 대한 사진자료와 탈을 만드는 재료 등이 전시되어 있다. 초기엔 하회마을의 부용대의 이름을 따서 부용탈방이라 하였으나 1985년도부터 지금의 이름인 하회동 탈방이라 칭하게 되었다. 그동안 만든 하회탈은 공보처의 해외 공보관에 전시용으로 공급되어왔다.

 


제1전시실 한국관

총면적-90평
중요무형문화재로 등록된 13종류와 지방문화재 2종류, 나례에 사용되는 탈과, 미등록자료 예천청단놀음탈 등
총 200여점 전시.
한국관에는 하회탈을 비롯하여 황해도 지방의 탈, 서울 경기지역의 산대놀이 탈과 경남과 부산지방의 야류·오광대 탈을 비롯하여 내륙지방의 별신굿 탈과 강릉관노가면극의 탈, 방상시와 처용탈, 옛 산대탈 등이 전시되어 있다. 우리나라 탈은 서낭제나 각종 벽사의식 등에도 사용이 되지만, 주로 사회적 기능을 갖고 있는 탈놀이에 사용되는 것으로 풍자와 해학이 가득 담긴 표정의 탈이 다양하게 있다.

 

 


제2.3 전시실 아시아관

아시아관은 중국의 나희가면과 벽사가면, 일본의 노가면, 태국의 콘 가면, 인도의 쵸우가면, 몽골의 챰 가면 등 아시아 지역의 탈이 전시되어 있다. 아시아 지역의 탈은 대체로 신화나 종교, 무속의식 또는 전설을 바탕으로 만들어 진 것이 많으며 각 나라마다 특징적인 의미와 조형을 지니고 있다.




제4전시실 세계관

세계관은 아시아지역을 제외한 세계 각지의 탈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아프리카 일대의 주술용탈과 벽사용 탈, 의식용 탈을 비롯하여 카니발과 같은 가면무도회, 축제용 가면, 각 부족의 조상가면과 주술가면 등이 전시되어 있다. 오지의 탈일수록 여전히 부족민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들의 실생활에서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Read More